본문 바로가기
INFO

2023년부터 부모급여 35만원, 70만원 지급(21년생, 22년생). 부모급여 신청방법 및 아동수당, 어린이집 정보

by Ncube 2023. 1. 22.

2023년 1월 25일 설 연휴가 끝나는 날부터 처음으로 부모급여가 지급된다. 해당되는 아동은 만 0세부터 만 1세까지이다. 21년생과 22년생인 아동인 경우에는 신청한 금액이 매달 입금되거나 보육료 바우처로 사용할 수 있다. 부모급여 신청방법과 기존의 아동수당, 영아수당을 받거나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기존에는 보육수당으로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에는 바우처 형태로 지급됐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현금으로 보육수당이 지급됐었다. 만 0세부터 1세까지는 매월 30만 원씩 영아수당을 받았고, 만 2세부터 초등학교 입학하기 전까지의 아동에게는 매월 10만 원의 가정양육 수당을 지급해 왔다. 즉 올해부터는 영아수당이 부모급여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올해는 만 0세의 경우는 매월 70만 원씩, 만 1세의 경우는 매월 35만 원씩 부모급여를 받게 된다. 내년 2024년부터는 지원되는 금액이 좀 더 올라간다. 만 0세는 100만 원, 만 1세는 50만 원씩 지원받게 된다.

 

 

 

2023년 1월 기준. 만 0세 / 만 1세

2023년 1월부터 만 0세는 매월 70만 원, 만 1세는 매월 35만 원을 부모급여로 받게 된다. 

  • 22년생 2월부터 12월 사이에 태어난 아이는 > 만 0세
  • 21년생 2월부터 12월 사이에 태어난 아이는 > 만 1세

 

 

 

2024년 1월 기준. 만 0세 / 만 1세

내년인 2024년부터는 올해보다 더 지원 폭이 높아지게 된다. 만 0세는 매월 100만 원을, 만 1세의 아동은 매월 50만 원씩 부모급여가 지급된다.

  • 23년생 2월 ~ 12월 태생 > 만 0세
  • 22년생 2월 ~ 12월 태생 > 만 1세

 

 

 

기존 아동수당, 영아수당 수령자 및 어린이집 이용자 

2022년 말에 아동수당이나 영아수당 월 30만 원이나 보육료를 받고 있었던 부모라면 부모급여를 별도를 신청할 필요가 없다. 어린이집 이용 시 만 0세부터 만 1세까지 모두 514,000원의 보육료 바우처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단, 만 0세는 부모급여가 70만 원이 지급되기 때문에 그 차액인 186,000원은 등록해 놓은 계좌로 입금된다.

 

 

 

부모급여 신청 방법

자녀의 출생일부터 60일 이내에 신청하면 출생일에 해당하는 달부터 소급 지급된다. 생후 60일이 지나고 신청하면 신청일에 속한 달부터 지급받을 수 있게 된다.

  • 온라인 신청 :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나 정부 24(www.gov.kr)의 누리집 홈페이지에서 신청
  • 오프라인 신청 :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인 읍 / 면 / 동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

오프라인으로 부모가 신청할 경우에는 전국에 있는 어떤 주민센터에서도 신청이 가능하다. 온라인 신청은 친부모인 경우에만 신청할 수 있고, 친부모가 아닌 경우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를 신청할 수 있다.

 

 

 

 

2023 간호사 국가고시 날짜, 일정, 준비물, 시간표, 과락, 시험장소 정보 총정리

 

2023 간호사 국가고시 날짜, 일정, 준비물, 시간표, 과락, 시험장소 정보 총정리

다양한 의료계 전반의 전문가를 뽑는 시험들이 올해도 시행된다. 국시원 홈페이지에서는 이러한 직종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023년에 치러지는 간호사 국가고시 날짜와 일정, 준비물, 시험

ncube-studio.tistory.com

 

 

지구를 살리는 탄소중립실천 포인트 제도 홈페이지 회원가입. 연간 7만 원 혜택.

 

지구를 살리는 탄소중립실천 포인트 제도 홈페이지 회원가입. 연간 7만원 혜택.

지구 환경이 악화되어 대기질도 나빠지고 바다에는 미세플라스틱으로 생태계에 커다란 악영향을 끼치며, 지구의 기온이 올라가며 전 세계에 각종 이상기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탄소포인트

ncube-studio.tistory.com

 

 

고향사랑기부제. 고향사랑 e음 기부금 납부하면 세액공제 + 답례품. 기부절차 알아보기.

 

고향사랑기부제 . 고향사랑e음 기부금 납부하면 세액공제 + 답례품. 기부절차 알아보기.

2023년 1월 1월부터 고향사랑기부금법을 시행하는 동시에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 외에 타 지역에 기부를 하면 일정 금액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자신이 낸 기부금을

ncube-studio.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