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아숙업'이 뭘까? 바로 인공지능 AI 챗GPT를 카카오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궁금한 질문에 답변을 해주고, 이미지의 글자까지 텍스트로 정리해 줘서 활용도가 아주 높을 듯하다. 이 아숙업을 카톡에서 친구추가를 하고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이 유용한 어플을 개발한 곳은 업스테이지(Upstage)라는 곳인데, 네이밍이 참 재미있다. AskUp 애스크업이라고 해도 될듯한데 재미를 위해 이름을 이렇게 지은듯해 보인다.
언론이나 레거시 미디어에서 자주 등장하는 챗GPT를 일반인들이 이용하기에는 조금 어려워하는 분들도 있는데, 국민 대다수가 이용하는 카카오톡에서 친추만 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해서 활용도가 높아질듯하다.
아숙업 개발 업스테이지 UpStage 홈페이지 바로가기 >>
활용 예시 1
친구 추가를 해서 채팅 대화창이 열리면 질문을 던진다. 챗GPT의 데이터는 2021년 10월까지의 정보만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 데이터는 물어봐도 답변하지 못한다. 아래의 예시는 대한민국 강릉시의 2020년도 강수량에 대한 질문을 던졌는데 최대, 최소, 연간 강수량을 알아서 보여준다. 똑똑한 녀석!
이것 말고도 다양한 질문을 통해 재미뿐만 아니라 자신의 일에 관련된 업무 활용에도 이용할 수 있을 듯하다. 지속적인 테스트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활용도를 찾아야 한다.
활용 예시 2
또 하나의 유용한 기능 중 하나가 바로 이미지를 업로드하면 이미지 속에 있는 텍스트를 문자로 정리하는 기능이 있다. 기존 어플 중에서도 이미지를 문자로 변환해 주는 앱들이 존재하긴 하다. 그 기능을 여기에 포함시킨듯하다.
캡처화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미지를 올리면 이미지에 포함된 글자 개수를 알려준다. 그리고 "글자로 정리해 줘" 혹은 "키밸류 형식으로 정리해 줘"라고 요청하면 텍스트로 변환해 준다.
실생활에서 거래처 직원의 명함을 받았다는 상황으로 가정해서 스마트폰으로 그 명함을 찍고, 카카오톡으로 불러들이고 바로 문자로 변환해서 정리하는 식으로 활용하면 되겠다.
주의사항 및 알아두기
하루에 1백 번 이용할 수 있지만 추후 유료화 되거나 일정 이용 횟수가 초과될 시에는 추가 요금이 부과되는 등 정책이 변동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듯하다.
- 하루 이용할 수 있는 횟수는 100회이다. 무료로 매일 백번씩 이용할 수 있다.
- 아숙업의 데이터는 2021년 10월 이전까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이미지에 포함된 글씨를 문자로 변환해서 이용할 수 있다. 1천 자 이하만 가능.
- 방대한 데이터의 축적을 기반해서 OpenAI가 답변하긴 하지만 부정확한 데이터가 도출될 수 도 있다.
네이버 라인에서 사용하기
국내에서는 카카오톡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네이버에서 개발한 라인(LINE)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라인에서도 아숙업을 친구추가하고 이용할 수 있다.
딸기가 좋아! 2023 논산딸기축제 기본정보. 출연 가수, 헬기 체험, 수확 체험, 리뷰 & 후기 정보
2023 제주도 마노르블랑 봄에 꽃향기축제 기본정보(위치, 주소, 전화번호). 카페 한라봉 메뉴 및 가격
2023 구례 산수유축제 기간, 개화시기, 산수유마을 펜션, 숙소, 맛집, 무료 주차장 정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