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소유자라면 지방세인 자동차세를 매년 납부해야 한다. 매년 6월과 12월에 2회 납부를 하게 된다. 자동차세 연납이란 1년 치를 미리 납부하면 세액 공제 혜택을 받아 할인된 금액만 납부하면 되는 제도이다. 2023년 올해 연납 신청 기간과 차량별 연납 할인율, 연납신청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자.
연납 할인율은 과거엔 10% 정도 였지만 작년 2022년 기준으로는 최대 9.15%를 할인해 주었다. 2023 연납 할인혜택은 지역별 시, 군, 구 별로 각기 다르며 작년보다는 세액 공제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올해 서울 구로구는 6.4%, 중구는 7%이며, 부산의 경우는 작년까지 10%에서 올해 7%로 큰 폭으로 할인율이 낮아졌다. 정확한 연납 할인율을 확인하고자 한다면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기관에 문의하면 되겠다.
자동차세 연납 신청은 1월과 3월, 6월, 9월에 신청 가능한데, 1월은 9.15%, 3월은 7.5%, 6월은 5%, 9월은 2.5%로 점점 할인 금액이 낮아진다. 차량을 어차피 몰아야 되는 분들이라면 연초 1월에 연납을 하는 것이 세금 납부를 낮추는 방법일 수 있다. 올해 연납신청 납부 기간은 1월 16일부터 1월 31일 사이에 하면 된다.
자동차세 연납 신청방법은 위택스 홈페이지에서 신청정보, 차량정보 및 환급계좌등을 입력하고 신청하면 되는데 자세한 경로 및 신청내용은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2023년 자동차세 연납 신청기간(납부기간), 신청 방법, 연납 할인율 정리 – 하이블로그
일반적으로 자동차세는 1년에 2번 납부하게 된다. 매해 6월과 12월에 납부하면 된다. 자동차세 연납이란 일년에 2회 걸쳐 납부하는 세금을 한 번에 납부할 경우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로
hiblog.net
또한, 자동차의 배기량(CC) 크기에 따라 자동차세가 결정되며 연식에 따라 할인율이 크게 차이가 난다.
배기량(CC)에 따른 자동차세
배기량(CC) | 자동차세 (원) |
800 | 83,200 |
1,000 | 104,000 |
1,300 | 236,600 |
1,500 | 273,000 |
1,600 | 291,200 |
1,800 | 468,000 |
2,000 | 520,000 |
2,200 | 572,000 |
2,500 | 650,000 |
2,700 | 702,000 |
2,900 | 754,000 |
3,000 | 780,000 |
3,200 | 832,000 |
3,500 | 910,000 |
1톤 화물 | 28,500 |
2.5톤 화물 | 48,000 |
소형승합차 | 65,000 |
차량 연식에 따른 할인율
차량 연식(년) | 할인율(%) |
1~2년 | 0% |
3년 | 5% |
4년 | 10% |
5년 | 15% |
6년 | 20% |
7년 | 25% |
8년 | 30% |
9년 | 35% |
10년 | 40% |
11년 | 45% |
12년 | 50% |
자동차의 경우 가장 감가상각비가 빠르고 크게 낮아지는 자산이다. 구매하자마자 바로 중고차로 변해버리니 말이다. 자동차의 가치는 낮아지는 대신에 오래 타게 되면 할인율은 높아지니 그나마 이걸로 위안 삼아야겠다.
온누리상품권 구매처 & 사용처(가맹점). 재고 확인, 할인 정보
온누리상품권 구매처 & 사용처(가맹점). 재고 확인, 할인 정보
2023년 새해를 맞아 온누리상품권 할인 행사를 진행하는 중이다. 온누리상품권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구두상품권 같은 할인된 상품권을 미리 구매하여 제품을 구매할 때 사용하면 되는 방식
ncube-studio.tistory.com
한글학교에서 할머니들이 만든 칠곡할매글꼴 5종. 글씨 서체 무료 다운로드 링크
한글학교에서 할머니들이 만든 칠곡할매글꼴 5종. 글씨 서체 무료 다운로드 링크
2023년 신년을 맞아 윤 대통령의 신년 연하장 카드에 사용된 글씨체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글씨 서체의 제작자는 다름 아닌 경북 칠곡군 성인문해교실에서 한글 공부를 하신 할머니들이다
ncube-studio.tistory.com
2023 공무원 연금 인상율 5.1% 확정! 퇴직 공무원 연금 인상률 계산
2023 공무원 연금 인상율 5.1% 확정! 퇴직 공무원 연금 인상률 계산
2023년도 공무원 연금 인상율이 5.1%로 확정되었다. 공무원연금이란 퇴직 공무원과 유족에 대해 생계보장 및 생활안정, 복리향상을 위해 연금 급여와 근로에 대한 보상적 성격을 가진 종합사회보
ncube-studio.tistory.com
댓글